Fewer than 200 people watched the New Zealand massacre live. A hateful group helped it reach millions

드류 하웰
3월 19일 오후 4:40
뉴질랜드의 미친 총잡이가 페이스북에 자신의 학살극을 생중계할 때 까진, 시청자 수는 200명도 채 안됐다. 페이스북 측은 해당 방송이 문제가 있다는 신고를 받고, 방송 시작 29분만에 운영자가 해당 방송을 제재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 총잡이가 처음으로 자신의 “침입자들에 대한 응징”을 선언한 익명 게시판 8chan에서는, 알 수 없는 무리가 동영상을 저장해 제재할 수 없는 웹 곳곳에 퍼뜨리고 있었다.
아주 효과적이었다. 두 개의 모스크를 가로질러 50여 명을 죽인 연쇄 테러 학살극은 단 24시간만에 페이스북에 150만 번 이상 업로드되었다.
페이스북에서 발표한 수치는 3월 15일의 학살극이 무엇을 뜻하는 지 명확히 보여준다. 적은 시청자로 진행되었던 한 편의 동영상이, 인터넷의 속도성 때문에 오히려 미국을 역사상 가장 유명하고 부유하게 만들어준 소셜미디어 인프라에 의해 폭발적으로 확산된 것이다.
[ 소셜 미디어의 비즈니스 모델이 뉴질랜드 대학살을 도운 방법 ]
SNS 기업들은 콘텐츠의 확산 방지에 더 큰 노력을 기울이기로 약속했다. 그렇지만 그 영상이 얼마나 빨리 통제를 벗어나 지금껏 기록된 가장 끔찍하고 뇌리에서 잊혀지지 않는 학살 묘사로 기록되는가만 보여주었을 뿐이다.
17분의 원본 동영상은 극우 극단혐오주의 사이트인 8chan에서 공개되었고 범인은 그 영상이 길이 보존되고 최대한 널리 알려지기 위한 동영상 저장 및 공유 팁을 같이 적었다. 누구나 쉽게 온라인으로 저장하고 다시 업로드 할 수 있는 광대한 지하 “미러” 사이트를 통해 영원히 인터넷에 남게 되는 것이다.
페이스북 관계자는 원본은 조회수가 약 4천 회 정도일 때 삭제되었으며, 또한 동영상을 즉시 영구 차단 목록에 등재하고, 24시간동안 150만 개의 관련 동영상을 삭제했다고 밝혔다.
[유튜브의 뉴질랜드 참사 동영상 차단을 위한 노력 — 뛰는 유튜브 위에 나는 사람들]
콘텐츠 관리자와 다중 신고에 의한 자동 차단 알고리즘은 대략 120만 건의 동영상을 차단했다. 그러나 페이스북은 약 20억 이상의 사용자 중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30만 건에 달하는 사본 영상을 시청하고, 댓글을 달고, 공유하고, 좋아요를 눌렀는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영상은 트위터와 유튜브 등 다른 플랫폼으로도 퍼져 나갔다. 잔혹한 학살의 편집되지 않은 생생한 장면을 테러 사태 이후 몇 시간동안 볼 수 있었다. 유튜브 측은 워싱턴 포스트와의 인터뷰에서 매 초마다 영상 사본이 업로드되고 있다고 밝혔다.
인공지능 차단망을 피하기 위해 사람들은 동영상을 살짝 조작하여 재 업로드하기 시작했다.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트위터, 유튜브 등이 모여 구성한 협의체 대테러 글로벌 인터넷 포럼에 따르면, 해당 테러에 관한 “선명한 화질의 동영상”이 800 종 이상 검열대상에 오르고 차단되었다.
[뉴질랜드 사태는 유튜브와 페이스북이 증오, 폭력의 이미지를 확산시키는 방식을 드러냈다.]
참혹한 영상의 확산은 민주당이 주도하는 국토 안보위원회의 날카로운 비난을 받았다. 베니 톰슨은 페이스북, 마이크로소프트, 유튜브, 트위터에 다음 주 브리핑을 요청했다.
톰슨은 지난 화요일 해당 기업 최고 경영자에게 보낸 서한에서 “더 잘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또한 내규를 넘어선 규제의 가능성을 경고했다. “규제가 싫다면, 다른 국가의 제재방안을 연구해서라도 포럼 차원에서 전격적으로 테러리스트 콘텐츠가 플랫폼 내에 배포되는 것을 막을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
한 편, 자신다 아든 뉴질랜드 총리는 지난 화요일 기자회견에서, 소셜 미디어 대기업들이 영상의 급속 확산을 막기 위한 역할을 분명히 보여주어야 한다고 말했다.
아든 총리는 “우리는 단순히 플랫폼이 아무 역할도 하지 않고 동영상 유포는 자신들의 책임이 아니라고 말하는 상황을 가만 두고 볼 수 없다. 플랫폼은 우편배달부가 아니고, 발행인이다. 책임도 지지 않으며 콘텐츠에 대한 이익을 얻을 수는 없는 것이다.” 고 말했다.
토니 롬 취재 보조

드류 하웰
드류 하웰은 워싱턴 포스트의 인공 지능을 전문으로 하는 기술분야 기자다. 자국 사업과 트럼프의 기업체를 다룬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