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r Rodent Selfies, Ourselves

생쥐의 셀카, 우리의 자화상

멈추지 않는 쥐들의 셀카본능

  • 2024-01-23


Augustin Lignier / Augustin the Rat

파리의 전문 사진작가 오귀스탱 리그니에는 대학원을 다니던 시절부터 한 가지 심오한 주제를 두고 고민을 해왔었다. 현대 사회에서 사진 찍기의 의미는 무엇인가. 왜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스스로의 삶을 사진으로 찍고, 모두에게 공개하고, 공유하는 일에 중독되어 있는가.

딱히 참신한 주제는 아니었다. 하지만 리그니에가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고안한 실험만큼은 놀랍도록 새로웠다. 생쥐 전용의 셀카 부스라니.

이 셀카 부스는 쥐의 학습 과정을 연구한 것으로 유명한 행동주의학 박사 B. F. 스키너의 논문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다. 스키너의 논문에 나온 스키너 상자를 본 땄는데, 스키너 상자는 쥐가 버튼을 누르면 사료가 튀어나오는 구조의 장비이다.

스키너 상자는 심리학 계에서 가장 유명한 실험 장비 중 하나다. 과학자들은 음식, 약물, 또는 뇌에 직접 꽂은 전극에 중독된 쥐들이 버튼을 미친듯이 연타하는 과정을 보며 연구하곤 했다.

리그니에 역시 독자적인 스키너 상자를 고안했다. 카메라를 설치한 투명한 상자에 쥐 두 마리를 풀어놓았다. 쥐가 상자 안에 있는 버튼을 누르면 사진이 찍히고, 찍힌 사진이 스크린에 띄워지고, 설탕이 지급되었다. (“솔직히 말하면 쥐들이 사진이란 걸 이해하진 못한 듯 하다”고 리그니에가 고백했다.)

우리의 생쥐 형제는 단숨에 셀카 전문가가 되었다. 이 똑똑한 쥐들은 버튼을 누르면 설탕이 나오는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열정적으로 버튼을 눌러댔다. 리그니에는 두 쥐 중 더 똘똘한 흰 쥐는 자신의 이름을 본따 오귀스탱이라 불렀고, 갈색 쥐는 형 이름을 따 아서라고 불렀다.

버튼-설탕 단계의 훈련이 끝나고, 리그니에는 보상에 예측불가능성을 추가했다. 버튼을 누르면 사진은 찍히지만 설탕은 어쩌다 가끔 나오는 것이다. 과학자들이 말하는 슬롯머신과 도박의 중독 메커니즘이다.

실제로 오귀스탱과 아서는 끝없이 셀카를 찍었다. 하물며 설탕이 이미 나왔는데도 계속 버튼을 눌러대기도 했다.

This slideshow requires JavaScript.

리그니에는 이 실험을 통해 확실하게 깨달았다고 한다. “디지털 세계와 소셜 미디어 업계는 사용자의 관심을 최대한 오래 유지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비슷한 시스템을 사용한다”

실제로 많은 과학자들이 소셜 미디어를 두고 “현대인을 위한 스키너 상자“라고 표현해왔다. 주기적으로 예측 불가능한 보상 (좋아요, 팔로우, 섹시한 이성의 관심) 을 제공하면서 우리를 핸드폰 앞에 붙들어 놓는다.

또는 버튼을 누르는 행위 자체가 보상이 되는 것일 수 있다. 2014년 한 연구에 따르면, 많은 사람들이 “혼자 가만히 멍 때리는 것 보단 차라리 스스로에게 약한 전기자극이라도 가하는 게 낫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사색에 잠기는 것 보다는 눈 앞의 무언가, 하물며 그 무언가 때문에 기분이 나빠지더라도 그 무언가를 자극하는 걸 더 선호하는 것이다.

고요하고 멍 하게 있는 일이 가장 힘든 이유 중 하나가 또 바로 이 기사 같은 것이다. “어휴 귀엽다” 라는 소리가 절로 나오는 생쥐 셀카가 눈 앞에 펼쳐지듯, 재밌는 인스타그램 사진이 한도 끝도 없이 쏟아져 나오는데 눈 감고 명상하는 일이 가능할리가.

Original Article Link

Our Rodent Selfies, Ourselves

Spreading paws-itivity

모두에게 행복을 선사하개

암으로 힘들어하는 모두에게 기쁨을 전파하는 행복전도사 스누피와 동료 수석간호사 마가렛 니코데메의 이야기

  • 2024-01-29


파리에 있는 퀴리 암센터의 회복복지사 스누피 / Julie Glassberg / Nature

저는 파리의 퀴리 암센터에서 암환자를 돌보는 수석간호사입니다. 오늘 제 글은 직장 동료 스누피를 대신해 써드리는 글이기 때문에 일단 스누피가 근무중일 때의 사진을 한 장 첨부해드립니다.

스누피는 아주 잘 생긴 3살짜리 잉글리시 세터입니다. 사진만 봐선 모르시겠지만 사실 스누피는 보르도 인근의 들판에서 반쯤 죽어가는 상태로 발견된 유기견입니다. 온 몸이 비쩍 마르고 기운이 하나도 없었지만 그 와중에도 반짝거리는 눈빛을 가진 아이였지요. 2022년 12월, 그렇게 구조된 스누피는 그 때부터 쭉 저희와 함께 회복복지사로 일하고 있습니다.

저희 센터 회복복지사로서 스누피는 두 가지 중요 임무를 맡고 있습니다. 첫째는 환자분들을 위무하는 것이고, 둘째는 동료 직원들의 사기를 북돋는 것입니다. 센터의 모두가 스누피를 사랑하죠. 비근무일인 주말, 그리고 퇴근 후의 저녁 시간은 저를 비롯한 동료 직원들 중 한 사람과 함께 보내게 되는데, 치열한 경쟁을 막기 위해 로테이션을 돌려 스누피와 함께 퇴근할 수 있는 시간을 균등하게 배분하고 있습니다.

스누피의 근무 능력이 얼마나 좋은지 예를 들어드리자면, 최근에 몇가지 의료 장비가 고장나는 바람에 환자분들의 진료가 지연되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환자분들이 짜증내면 어쩌나 걱정스러운 마음에 대기실로 달려갔는데, 먼저 온 스누피가 모두와 함께 사진도 찍고 쓰다듬당하며 환자분들의 스트레스와 불안감을 녹여주는 모습이 보였습니다[^1].

스누피는 저희 센터의 유일한 직원-개인데, 정말 저희 센터에겐 다행인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스누피만큼 업무에 완벽한 개가 없어요. 눈치도 얼마나 빠른지, 다른 직원들이 사무 작업 중일 땐 혼자 조용히 바구니에 들어가 휴식을 취하고, 누군가가 스누피를 필요로 하는 순간엔 빠르게 달려가 애정으로 가득한 애교를 부리곤 합니다.

항암 치료라는 건 절대 즐거운 일이 아니지만, 스누피와 함께하면 모두가 이 작업을 조금이라도 더 견딜 수 있다고 믿으며 힘을 냅니다. 더욱 다행인 건, 스누피는 이 과정을 전혀 일이라고 생각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센터에서 눈이 마주치는 모두와 인사하러 돌아다니는데, 꼬리가 멈추질 않더라구요.


[^1]: 200명의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반려견과 10~20분 정도 노는 것 만으로도 통증을 완화하고 불안감과 우울감을 줄일 수 있다. (B. Carey et al. PLoS ONE 17. e0262599: 2022)

Original Article Link

Spreading paws-itivity

Dogs may wag their tails so much due to rhythm-loving humans, scientists say

개가 꼬리를 흔드는 것은 놀 줄 아는 사람들 덕분?

키우고 보니 꼬리 리듬이 너무 매력적으로 보였던 건 아닐까?

  • 2024-01-17 06:00 GMT


최근 연구에 따르면 똑같이 새끼 때부터 키운 개와 늑대 중에서, 개가 꼬리를 더 많이 흔든다고 합니다 / 사진:TTL Deez / Shutterstock

최근 과학자들이 개의 꼬리 흔들기에 대해 흥미로운 가설을 주장했습니다.

선풍기처럼 힘차게, 혹은 깃털처럼 살랑살랑, 방식은 다를지언정 꼬리 흔들기는 모든 개가 하는 필수 행동양식입니다. 과학자들은 이 행동이, 개가 인간에 의해 사육되는 과정에서 인간의 취향에 따라 선택된 것이라는 학설을 내세운 것이죠.

인간이 개를 길들인 시기는 대략 15,000년 ~ 50,000년 전 즈음으로 추정되는데, 오늘날엔 영국의 세 집 중 하나는 개를 키울만큼 인간과 개의 관계가 끈끈해졌습니다.

당연하지만 개는 말을 못하기 때문에, 개 주인들은 자기 개가 꼬리를 흔드는 방식과 정도를 보면서 개의 마음을 헤아리기 위해 노력하곤 합니다. 학자들이 궁금한 것은 이 행동언어를 통한 교감이 어떻게 진화했느냐 하는 부분인거죠.

개를 사랑하는 과학자 몇 명이 모여 몇가지 가설을 압축했습니다.

네덜란드 막스 플랑크 심리언어학 연구소의 테일러 허쉬 박사는 Biology Letters에 기고한 논문을 통해 "타임머신을 타고 인류가 개를 처음 키운 그 날로 돌아간다면 좋겠지만, 그럴 수 없는 오늘날에는 개의 행동을 인간의 행동과 연결지어 살펴보면서 이 가축화 과정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를 유추해 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허쉬박사는 이어서 "꼬리 흔들기는 다른 동물들하고 구별되는 독특하면서도 흥미로운 행동" 이라며 꼬리 흔들기를 연구한 다른 논문을 몇 가지 소개해주는데, 하나는 개와 늑대의 차이입니다. 똑같이 인간의 손에서 자라난 개와 늑대 중, 개가 훨씬 더 많이 꼬리를 흔든다는 것이죠. 또 하나는 꼬리 방향인데, 개는 좋으면 오른쪽으로, 싫으면 왼쪽으로 꼬리를 친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이런 연구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원인, 왜 개가 꼬리를 흔들고, 늑대보다 더 많이 흔들고, 뚜렷하게 감정에 따라 다르게 흔드는지는 아무도 연구한 적이 없었습니다. 아직까진 말이죠.

가설의 핵심은 길들여지는 과정에 있을 것입니다. 허쉬 박사와 연구팀은 기존에 개의 유순함이나 명령 복종 능력 등이 인간의 취사선택에 따른 유전적 변화 때문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번 가설도 그 연장선에서, 꼬리 흔들기도 인간의 선택에 따른 자연적 유전자 풀 변화에 따를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이제 추론을 좁혀볼 수 있습니다. 인간은 왜 꼬리 흔들기 유전자를 선택했을까요? 이 논문을 작성한 여러 학자들이 각자 흥미로운 이유를 제시합니다. 제1저자 실비아 레오네티는 인간이 보기에 개의 꼬리가 리드미컬하게 움직이는 것이 시각적으로 더 좋아보여서 골랐을 것이라고 합니다.

더 자세한 후속 연구를 위해 개와 개, 개와 인간의 상호작용을 더 깊게 연구하고 더 많은 개를 표본으로 삼아 첨단 기술을 동원하고 싶다는 포부도 같이 적었죠.

막스플랑크 지구인류학 연구소의 줄리안 브뢰어 박사는 이 도전적인 발상에 일단 박수를 보내며, 아무리 그래도 리듬감보단 더 쓸모있는 가설이 있지 않을까 하는 의견을 보냈습니다.

예를 들어 링컨 대학의 개 행동 연구학자인 홀리 루트-거터릿지 박사는 개 짖는 소리가 인간한텐 너무 자극적이기 때문에 시각을 활용하는 쪽으로 진화했다고 추정하고 있죠.

"개는 동물 중에선 굉장히 시각적으로 고도화 된 종이기 때문에 눈으로 보는 리듬을 충분히 좋아할 수 있고, 인간이야 말로 과연 개 꼬리 리듬에 그렇게 반응성이 좋을지는 잘 모르겠지만 하여튼 흥미로운 가설"이라고 말하며, 자신의 가설을 이어나갔습니다.

늑대도 꼬리 흔들기를 사회적 대화수단으로 사용하긴 하지만, 야생이라는 공간은 꼬리로만 대화하기엔 너무 제한적이라는 것이죠. 반면 "고대의 인간은 시끄럽게 짖지 않으면서도 꼬리를 통해 충분한 의사를 표현하는 원시 개-늑대를 고르며, 손짓 발짓 만큼이나 명확한 꼬리짓 의사소통을 발전시켰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Original Article Link

Dogs may wag their tails so much due to rhythm-loving humans, scientists say